2025 산업·기술 정부지원금 총정리 – 스마트공장·친환경·AI까지

5. 산업·미래기술 대상 지원금

5-1. 기술혁신형 R&D 지원

대상: 중소기업 중 기술혁신역량이 있는 기업
내용: 핵심기술 개발, 시제품 제작, 성능 개선 등 전주기 지원
지원: 최대 3년간 5억~10억 원 이상 지원 가능 (사업유형별 상이)
신청: 산업통상자원부 또는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(TIPA) 홈페이지

5-2. 스마트서비스 바우처

대상: 비제조업 중심 중소기업 및 소기업
내용: ERP, CRM, 온라인 마케팅 등 비대면 업무 디지털 전환 지원
지원: 기업당 500만 원~800만 원 상당 바우처 지급
신청: 스마트서비스 플랫폼 또는 기업마당

5-3. 친환경 전환 지원 (탄소중립설비 보조금)

대상: 온실가스 감축 설비 전환 계획이 있는 중소/중견 제조기업
내용: 친환경 설비(전기차 충전기, 집진기, 저탄소 연료 전환 등) 투자 보조금 지급
지원: 설비별로 1천만~5억 원까지 차등 지급
신청: 한국환경공단 또는 탄소중립종합정보 플랫폼

5-4. ICT 융합·AI 기술 도입 지원

대상: 제조·비제조 중소기업 전반
내용: AI, IoT,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한 업무 자동화 및 고객 분석
지원: 컨설팅부터 도입 자금까지 일괄 지원, 기업당 최대 1억 원
신청: 정보통신산업진흥원(NIPA) 또는 관련 지자체

마무리 안내

정부는 미래 기술 경쟁력 강화를 위해 산업과 혁신기술 분야에 대한 지원을 지속 확대 중입니다.
R&D부터 친환경 전환, 스마트 서비스, AI 도입까지 현장 적용형 지원이 다수 마련돼 있습니다.

지금 내 기업이 어떤 기술 분야에 해당되는지 확인하고, 예산이 조기 소진되기 전 꼭 신청하세요!

다음 이전